전체 글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요가 많은 리소스의 복잡한 API 필터링 조건을 만족시키는법 Geera 라는 이슈 추적관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슈라는 다양한 검색조건을 지원해야하는 리소스에서 예측이 어려운 수요에대해 고민하고 이를 해결한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복잡한 쿼리와 API설계의 피로도 프로젝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하는 리소스는 다양한곳에서 많은 수요를 보입니다. 예를들어 E-commerce 같은 서비스에서 상품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도메인 입니다. 고객은 다양한 검색조건을 원합니다. 상품의 색상, 사이즈, 가격, 브랜드, 신상품 ... 이것들을 전부 필터링 하는것은 상당히 번거롭습니다. 또, 필터 조건을 완벽하게 예측하기도 쉬운일이 아닙니다. API의 고객 그리고 API를 설계하는 입장에서의 고객은 상품을 실제로 구매하는 최종 소비자 뿐만이 아닙니다. API를 사용하는 팀원, 협..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비교 분석: k-means 알고리즘을 활용한 성능 평가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개념입니다. 이 두가지 개념은 시스템 자원을 활용하는 방식과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 근본적인 차이를 갖고 있습니다.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갖는 실행중인 인스턴스이며,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실행 단위입니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각각이 가지는 특징을 실험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JVM 환경에서 k-means 클러스터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싱글 스레드, 멀티 스레드, 멀티 프로세스의 세 가지 구현을 통해 성능과 효율성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프로세스와 스레드가 소프트웨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각각의 사용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합니다. OS-.. 이전 1 다음